ASF 국내 발생 4년, ASF 발생과 대책
작성자 한국썸벧(주)

피그앤포크 1월호에 소개된 선우선영 수의학박사의 ​"ASF 국내 발생 4년, ASF 발생과 대책"에 대한 내용을 공유합니다. 

필자는 2019년 국내 사육돼지에서 첫 ASF가 발생된 이후 4년의 시간이 흘렀고, 양돈과 관련된 모든 분야에서 부단한 노력을 진행하였고, 현재도 진행 중 이다. 국제적인 질병 발생의 양상이나 국내 유입의 위험성 및 현재 사육돼지에서 발생 상황을 고려하면, 여전히 ASF 방제에 대해서 고민하고 최선의 방법을 찾고자 지속적인 개선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.

국내외 발생 상황을 정리하고, 백신의 개발 상황과 백신의 적용에 대해서 고려 할 사항과 제안 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.고 시작합니다.

1, ASF의 발생

 - 해외 발생 상황

 - 국내 발생 상황

 - ASF 분류(유전형, 혈청형)

2. ASF 백신

3. ASF 백신을 준비하며

 - 국내 발생 상황에 따른 백신 적용 체계 설정

 - 재조합 약독화 생백신(약독화 생백신)에 대한 승인 기준

 - 야생멧돼지 미끼 백신

필자는 끝으로 지금은 국내 적용 기준에 맞는 백신이 개발되는 것보다는 ASF의 위험성이 더 크다는 점을 인지하고, 정부와 농장은 방역에 최선을 다해야 된다고 다시 한번 강조하고 싶다.라고 말하고 있습니다.

 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